본문 바로가기
문화·연예 다방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애덤 그랜트의 "히든 포텐셜"로 발견한 성장의 비밀

by 2020원더아재 2024. 12. 11.
반응형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 열심히 일하는 것, 그리고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라고 믿는 사람들 많죠? 특히 한국에서는 이러한 가치관이 아주 깊게 자리 잡고 있어요. 아침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학원을 전전하는 학생들, 새벽까지 일하며 최고의 자리에 오르길 꿈꾸는 직장인들… 하지만 오늘 소개할 애덤 그랜트의 *히든 포텐셜(Hidden Potential)*은 이런 고정관념을 완전히 뒤집는 통찰을 담고 있어요.

 

히든 포텐셜 (출처 : 교보문고)


완벽주의와 끝없는 노력의 실체

그랜트는 책에서 "완벽주의는 생산적이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성장에 해로울 수 있다"고 지적해요. 이 말은 특히 한국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어요. 한국에서는 "열심히 하면 못 이룰 것이 없다"는 말을 자주 듣잖아요. 그런데 이 책을 읽고 보면, 끝없이 몰아붙이는 것이 실제로 창의성과 성과를 갉아먹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돼요.

 

그랜트는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순간이 의외로 ‘미루기’와 같은 여유 속에서 생긴다고 말해요. 예일대 학생과의 대화에서 시작된 그의 연구는, 약간의 미루기가 창의성을 발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죠. 물론 너무 많이 미루면 안 되겠지만요.


한국 교육의 압력: 열심히만 하면 되는 걸까?

한국 교육의 특징 중 하나는 철저히 목표 중심이라는 거예요. 좋은 대학에 가고, 사회적으로 성공하려면 새벽까지 공부하고, 잠자는 시간을 줄여서라도 노력해야 한다고 배워왔죠. 심지어 "하루에 세 시간 자면 의사, 네 시간 자면 실패"라는 말까지 있잖아요. 하지만 이런 문화는 아이들에게 장기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그랜트는 완벽주의가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방해하고, 새로운 도전에 대한 두려움을 키운다고 경고해요. "100% 성공할 수 없을 것 같은 아이디어는 시도조차 하지 않게 만든다"는 거죠. 실제로 많은 아이들이 처음부터 잘하지 못하는 활동은 바로 포기해버리는 경우를 자주 보잖아요.


완벽주의와 번아웃: 끝없는 노력의 대가

완벽주의는 번아웃(burnout)의 주요 원인이에요. 그랜트는 하루 3~4시간 이상 연습하지 않는 국제 엘리트 피아니스트들의 사례를 언급하며,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충분한 휴식과 집중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해요. 무조건 많은 시간을 투입하는 것이 아니라, 최고의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짧고 강렬한 연습이 중요하다는 거죠.

 

한국의 직장 문화도 비슷해요. 긴 시간 동안 일하지만, 효율성은 낮은 경우가 많아요. 프랑스 노동자들이 한국보다 더 짧은 시간 일하면서도 더 많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데이터는 이를 뒷받침해요. 결국 중요한 건 ‘얼마나 오래 일했는가’가 아니라 ‘어떤 가치를 만들어냈는가’라는 거예요. 우리 교육은 끝까지 자신을 몰아부쳐 정해진 점수를 내는 것만이 정답인 것처럼 교육받지만 사실은 얼마나 큰 창의성을 발휘해 지속가능한 가치를 만들어 내는 가가 결국 모두에게 더 이로운 사회가 되는 길이라는 것이죠.

 

애덤 그랜트 (출처 : 교보문고)


실패와 실수의 가치: 새로운 도전을 위한 용기

그랜트는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가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해요. 그는 학생들에게 "완벽하지 않더라도 그냥 시도하라"고 조언하죠. 소셜 미디어가 완벽주의를 부추기고 실패를 과도하게 확대하는 문화가 문제라며, 실패를 공유하고 성장의 과정으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해요.

 

예를 들어, 운동이나 언어 학습에서 실수를 통해 얼마나 많이 성장했는지를 주목해야 한다고 말해요. 실수는 실패가 아니라, 배움과 발전의 증거라는 거죠. 패배는 곧 end가 아니라 더 나은 성공을 만들어 가는 and, 즉 소중한 데이터이고 과정이라는 얘기죠.

 

실패는 곧 성공


부모와 리더를 위한 메시지: 겸손과 자기인식의 힘

그랜트는 부모와 리더가 자신의 실수를 솔직히 인정하고, 약점을 공유하는 것이 팀과 자녀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해요. 그는 연구를 통해 리더가 자신의 실수를 공유했을 때 팀의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하고, 장기적으로 성과가 향상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한국 문화에서 겸손은 중요한 가치로 여겨지잖아요. 이를 긍정적으로 활용해, 부모나 리더가 "나도 실수를 하고, 그로부터 배운다"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한 메시지로 작용할 수 있어요.


우리에게 필요한 새로운 기준

마지막으로 그랜트는 ‘완벽’을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진행 중인 성장’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말해요. 소셜 미디어에서 보이는 완벽한 모습만을 기준으로 삼지 말고, 그 뒤의 노력과 성장을 인정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거죠.

 

아이들에게도 마찬가지예요. 실수하지 않고 완벽해야 한다는 압박보다는, 얼마나 노력했고, 얼마나 성장했는지를 칭찬하는 것이 진정한 성과를 이끄는 길이에요.


숨겨진 잠재력을 깨우는 법

애덤 그랜트의 히든 포텐셜은 우리에게 완벽주의의 함정에서 벗어나라고 말해요. 쉬지 않고 노력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라는 믿음은 오히려 우리의 잠재력을 가로막을 수 있어요. 대신, 실수를 받아들이고, 성장의 과정을 즐기며, 자신만의 속도로 나아가는 것이 더 중요하죠.

 

책을 읽으면서 ‘나만의 성장’을 다시 한 번 돌아보게 돼요. 한국에서 특히 중요한 메시지라고 생각해요. 우리는 잠재력을 키우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그 답은 바로 지금 우리에게 달려 있어요. 🌱

 

 

정목 스님의 가르침: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아가는 법"

삶이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 순간,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원망과 분노, 또는 자책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대신, 내 삶의 주인공이 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은

wonderajae.tistory.com

 

 

히든 포텐셜 - 성공/경력관리 | 쿠팡

쿠팡에서 4.8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8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