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뜻대로 흘러가지 않는 순간,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원망과 분노, 또는 자책으로 시간을 낭비하는 대신, 내 삶의 주인공이 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오늘은 순천 홍선사에서 진행된 정목 스님의 강연에서 소개된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사는 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이 가르침은 우리 모두가 인생에서 겪는 고난과 갈등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남의 인생이 아닌 내 인생을 살고 있나요?
정목 스님은 우리 대부분이 남의 인생을 살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는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되지 않는 현실에 저항하며 끊임없이 불평을 늘어놓는 모습을 뜻합니다.
- 현실 저항의 예
- “내 자식들이 말을 잘 들었으면 좋겠어.”
- “사람들이 좀 더 친절했으면 좋겠어.”
- “시험에 떨어지지 않았으면 좋았을 텐데.”
우리는 하루에도 여러 번 이러한 생각을 하며 현실과의 충돌을 겪습니다. 하지만 정목 스님은 이렇게 말합니다:
“이미 일어난 일에 저항하는 대신,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를 물어보세요.”
2. 삶의 주도권을 되찾는 법
스님은 우리가 인생에서 맞닥뜨리는 모든 상황에서 저항 대신 주도권을 가지라고 강조합니다.
- “시험에 떨어졌다” → "그럼 지금부터 내가 무엇을 하면 되지?"
- “상대방이 나를 배신했다” → "그럼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이렇게 질문을 던지는 순간, 우리는 남의 인생이 아닌 내 삶을 살아가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3. 저항하지 않는 마음: ‘수처작주 입처개진’
스님의 가르침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수처작주(隨處作主) 입처개진(立處皆眞)’**입니다.
- 수처작주: 있는 자리에서 주인이 된다.
- 입처개진: 머무는 곳마다 진리를 이룬다.
이 말은 어떤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삶을 주도적으로 살아가라는 뜻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현실에 저항하지 않고, 그 순간 필요한 행동을 결정하는 자세입니다.
4. 현실을 관찰하고 받아들이기
정목 스님은 과거와 미래에 매달리는 대신, 현재의 순간을 관찰하라고 조언합니다.
- “나는 이미 아프다. 그럼 지금부터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
- “상대방이 나를 배신했다. 그럼 내가 어떻게 하면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까?”
현실을 저항 없이 받아들이고 관찰하면, 마음이 평온해지고 스트레스가 줄어듭니다. 저항은 우리의 에너지를 소모시키지만, 관찰은 우리를 행동의 주체로 만들어 줍니다.
5. 삶을 방해하는 ‘마음의 소설 쓰기’를 멈추라
스님은 우리의 마음이 스토리를 만드는 데 열중한다고 지적합니다.
- 과거의 상처를 되새기며 끊임없이 후회하고,
- 미래에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걱정하며 새로운 소설을 씁니다.
이러한 ‘마음의 소설 쓰기’를 멈추고, 현재의 순간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6. 고난은 삶의 ‘장군 죽비’
스님은 고난을 **‘장군 죽비’**로 비유했습니다.
“장군 죽비 한 방을 맞으면 졸고 있던 수행자가 정신을 차리듯, 고난은 우리의 무지몽매한 삶을 깨우는 역할을 합니다.”
고난을 저항이나 분노의 대상으로 삼는 대신, 이를 성장의 기회로 삼으라는 메시지입니다.
7. 전두엽을 자극하는 긍정적인 생각
현대 뇌과학의 관점에서도 스님의 가르침은 큰 의미를 가집니다.
- 부정적인 생각과 스트레스는 편도체를 활성화시켜 공격성을 높이고,
- 긍정적인 질문과 행동은 전두엽을 자극해 더 평화로운 마음 상태를 만듭니다.
스님이 강조한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라는 질문은 전두엽을 활성화하고 우리를 이타적이고 자비로운 상태로 이끌어줍니다.
8. 감사를 통해 저항을 넘어서기
스님은 모든 상황을 감사하는 마음으로 대하라고 조언합니다.
- 누군가 당신에게 불친절하게 행동했을 때,
- 불쾌한 상황이 닥쳤을 때,
“감사합니다”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 순간 당신은 그 상황에 매이지 않는 자유를 얻게 됩니다.
9. 베토벤과 운명 교향곡: 저항을 내려놓고 창조하다
정목 스님은 베토벤의 이야기를 예로 들어 저항을 내려놓는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 베토벤은 청력을 잃었지만, 이를 원망하지 않고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를 물으며 운명 교향곡과 같은 위대한 작품을 창조했습니다.
10. 내 삶의 주인공이 되기 위한 3단계 실천법
- 질문하기: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
- 저항 멈추기: 이미 일어난 일을 바꾸려고 애쓰지 말라.
- 행동하기: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의 행동을 선택하라.
결론: 내 삶의 주인공으로 살자
정목 스님의 가르침은 단순하지만, 우리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강력한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남의 삶을 살지 말고, 내 삶을 살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도 스스로에게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를 물으며 삶의 주도권을 가지자.”
정목스님의 아침 편지 365 일력 - 일기/편지글 | 쿠팡
쿠팡에서 5.0 구매하고 더 많은 혜택을 받으세요! 지금 할인중인 다른 7 제품도 바로 쿠팡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coupang.com
이 가르침을 통해 여러분 모두가 내 삶의 주인공으로 당당히 살아가시길 바랍니다.
아랫 글도 한번 읽어 보세요!
유시민 강연 리뷰: 세상은 고통으로 가득하고, 왜 이리도 아름다운가?
우리는 살아가며 한 가지 질문에 부딪히곤 합니다. "세상은 왜 이렇게 고통으로 가득하면서도, 또 이리도 아름다운가?" 유시민 작가의 저서 **"문과 남자의 과학 공부"**를 토대로 문재인 전 대통
wonderajae.tistory.com
'문화·연예 다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핑크 로제의 "아파트" 그리고 새로운 음악 이야기 "로지" (0) | 2024.12.01 |
---|---|
저출산과 탈종교화, 종교계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 방안 (2) | 2024.12.01 |
고현정, 그녀의 이야기: 드라마, 인생 그리고 성찰 (36) | 2024.11.29 |
뉴진스, 어도어와 결별 기자회견: “뉴진스 이름 지키고, 민희진 대표와 함께 할 것” (2) | 2024.11.28 |
MZ세대는 가라! 잘파(Zalpha) 세대, 새로운 소비와 문화의 주역으로 떠오르다! (5)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