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2025년, 주 5일 직장인의 휴일과 연휴 완벽 정리!

by 2020원더아재 2024. 11. 24.
반응형

오늘은 2025년 달력에 담긴 휴일과 연휴 일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2025년은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총 119일의 휴일(2024년과 동일)을 가질 수 있다고 하는데요! 올해와 비교해 연휴 일정은 어떻게 바뀌었는지, 달력 속 숨겨진 정보까지 함께 살펴볼게요.

 


2025년의 공휴일, 얼마나 쉴 수 있을까?

2025년 달력의 빨간 날, 즉 관공서 공휴일은 총 68일이에요.
52일의 일요일과 설날, 추석, 국경일 등을 포함한 18일의 공휴일이 포함된 숫자인데요, 여기서 공휴일과 일요일이 겹치는 날들이 있어요.

 

예를 들어:

  • **어린이날(5월 5일)**과 **부처님 오신 날(5월 5일)**이 겹칩니다.
  • **추석 연휴 첫날(10월 5일)**은 일요일과 겹쳐요.

이런 경우 실질적인 공휴일은 68일로 올해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주 5일제 직장인의 휴일 총정리!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한다면,
**공휴일(68일)**과 **토요일(52일)**이 더해져 총 120일을 쉴 수 있는데요,
여기서 공휴일과 토요일이 겹치는 날을 빼면 실제로 쉴 수 있는 날은 119일이랍니다.

이 숫자는 2024년과 같아요.


3일 이상의 연휴는 총 6번!

직장인들이 가장 기다리는 건 바로 3일 이상의 연휴죠.
2025년에는 3일 이상의 연휴가 총 6번입니다. 날짜를 하나씩 살펴볼까요?

📅 2025년 3일 이상 연휴 정리

  1. 1월 28일(화)~30일(목): 설날 연휴 (3일)
  2. 3월 1일(토)~3일(월): 3·1절 (대체공휴일 포함, 3일)
  3. 5월 3일(토)~6일(화):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 연휴 (4일)
  4. 6월 6일(금)~8일(일): 현충일 연휴 (3일)
  5. 8월 15일(금)~17일(일): 광복절 연휴 (3일)
  6. 10월 3일(금)~9일(목): 개천절, 추석, 한글날 연휴 (7일)

특히 10월 연휴는 7일로 가장 길어요!
추석과 한글날까지 이어지면서 긴 휴식을 만끽할 수 있는 기회랍니다.

 


주요 전통 명절과 절기

2025년의 주요 전통명절과 절기도 정리해 보았어요.

  • 설날: 1월 29일 (화)
  • 정월대보름: 2월 12일 (수)
  • 한식: 4월 5일 (토)
  • 단오: 5월 31일 (토)
  • 초복, 중복, 말복:
    • 초복: 7월 20일 (일)
    • 중복: 7월 30일 (수)
    • 말복: 8월 9일 (토)
  • 칠석: 8월 29일 (금)
  • 추석: 10월 6일 (월)

이 외에도 절기와 명절을 활용해 다양한 계획을 세우기 좋겠죠?


직장인이라면 알아야 할 꿀팁!

휴일을 알뜰히 활용하려면 연차와 공휴일을 잘 조합하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5월 연휴(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 연휴)**는 월요일과 화요일이 연휴이므로, 금요일(5월 2일)에 연차를 사용하면 5일의 황금연휴가 가능합니다.

또한, 10월의 긴 연휴(10월 3일~9일)를 활용해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것도 추천드려요.


2025년, 알차게 쉴 준비되셨나요?

2025년은 공휴일, 연휴 모두 올해와 비슷하지만, 긴 연휴가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여행이나 휴식을 즐기기 좋은 해랍니다.
지금부터 달력을 보며 중요한 연휴에 맞춰 계획을 세워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