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DX 트렌드

구글, ‘10셉틸리언’년 걸리는 문제 5분에 푸는 양자컴퓨터 개발

by 2020원더아재 2024. 12. 11.
반응형

양자컴퓨터는 기존의 컴퓨터 기술을 넘어, 세상을 바꿀 잠재력을 가진 혁신적인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구글이 발표한 최신 양자컴퓨터 성과는 이 기술이 더 이상 이론적 가능성에 머물지 않고, 현실 세계로 빠르게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양자컴퓨터의 개요와 특징, 그리고 구글이 이룩한 획기적인 진전을 중심으로 이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겠습니다.

 

구글의 양자 컴퓨터 시커모어(Sycamore)


1. 양자컴퓨터란 무엇인가?

양자컴퓨터는 양자물리학의 핵심 원리인 ‘얽힘’과 ‘중첩’을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입니다. 기존의 컴퓨터는 데이터를 비트(bit) 단위로 처리하며, 이 비트는 0과 1 중 하나의 값을 가집니다. 반면, 양자컴퓨터는 큐비트(qubit)를 사용하여 0과 1의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습니다. 이는 양자 중첩(superposition)이라는 특성에 기반합니다.

 

양자컴퓨터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양자 얽힘(entanglement)’입니다. 얽힘 상태에 있는 큐비트들은 서로 간에 물리적 거리에 관계없이 동기화된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징은 양자컴퓨터가 지닌 병렬 연산 능력의 핵심입니다.


2. 양자컴퓨터의 주요 특징

2.1 기하급수적인 계산 능력

큐비트의 수가 늘어나면 양자컴퓨터의 연산 능력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2개의 큐비트는 4가지 조합(00, 01, 10, 11)을 표현할 수 있고, 3개의 큐비트는 8가지 조합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병렬 처리 능력은 기존 컴퓨터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계산 속도를 제공합니다.

2.2 양자 오류 수정

큐비트는 외부 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오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양자 오류 수정(Quantum Error Correction)’ 기술을 개발해 왔습니다. 이 기술은 양자컴퓨터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돕는 핵심 요소입니다.

2.3 잠재적 응용 분야

양자컴퓨터는 그 엄청난 연산 능력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끌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인공지능(AI): 복잡한 데이터 분석과 학습 모델 개선(ex. 유체역학 등)
  • 약물 개발: 분자 시뮬레이션과 신약 개발.
  • 군사 및 보안: 암호 해독 및 보안 기술 강화.

3. 양자 컴퓨팅의 시작

양자 컴퓨팅의 개념은 1980년대 초반에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과 데이비드 도이치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파인만은 양자역학 원리를 이용해 컴퓨터를 만들면 더 강력한 계산 능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도이치는 양자 컴퓨터의 기본 개념을 수립하고 실제 양자 컴퓨터가 기존 컴퓨터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여줌을 증명했다. 한마디로 양자 컴퓨팅은 양자역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로 기존의 컴퓨터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양자 컴퓨팅의 발전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져 오고 있다.

• 이론적 연구 : 1980년대부터 양자 컴퓨팅의 이론적 연구가 시작되었고 이 시기에 양자 컴퓨팅의 기본 원리와 알고리즘이 연구되었다.

• 실험적 연구 : 1990년대부터 양자 컴퓨팅의 실험적 연구가 시작되어 양자 컴퓨팅의 원리를 활용하여 간단한 계산을 수행하는 실험적인 양자 컴퓨터가 개발되었다.

• 상용화 연구 : 2000년대부터 양자 컴퓨팅의 상용화 연구가 시작되어 다양한 기업들이 양자 컴퓨팅의 연구와 개발을 시작하였다.

 

4. 구글의 최신 성과: 10셉틸리언 년의 문제를 5분 만에 해결

구글이 공개한 새로운 양자 칩 ‘윌로’의 모습. AFP연합뉴스

 

구글은 최근 발표에서 자사의 최신 양자컴퓨터가 기존의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를 능가하는 성과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셉틸리언은 1 뒤에 0이 24개나 붙는 어마어마한 숫자예요. 이번 연구는 구글이 개발한 ‘윌로(Willow)’ 칩에 기반하며, 테스트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슈퍼컴퓨터로는 10셉틸리언(10의 24제)년이 걸리는 문제를 단 5분 만에 해결했다고 합니다.

4.1 윌로 칩과 큐비트

윌로 칩은 105개의 큐비트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구글은 큐비트를 3x3에서 5x5, 7x7 격자로 확장하면서 발생하는 오류를 실시간으로 줄이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구글은 큐비트 수를 늘리면서도 오류를 줄이는 데 성공하여, 양자 오류 수정에서 중요한 ‘임계값 이하(Threshold Below)’를 달성했습니다.

4.2 기존 성과와의 비교

구글은 5년 전에도 1만 년이 걸리는 문제를 3~4분 안에 해결할 수 있다고 발표하며 주목받은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성과는 그보다 훨씬 발전된 기술력을 보여줍니다. 윌로 칩은 기존 대비 큐비트의 수와 오류 수정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양자컴퓨팅이 처음 구상됐을 때 전문가들조차 실용적인 것이 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했다. 지난 1년 동안 일어난 일은 그것이 더이상 과학소설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 미하일 루킨 하버드대 교수

5. 양자컴퓨터의 도전과 과제

5.1 오류 관리

양자컴퓨터의 가장 큰 과제는 오류 관리입니다. 큐비트는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오류가 누적되기 쉽습니다. 구글은 실시간 오류 수정 기술을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5.2 상용화의 어려움

현재 양자컴퓨터는 주로 실험적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실제로 상용화된 사례는 없습니다. 구글은 내년에 실제 문제 해결 사례를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5.3 글로벌 경쟁

양자컴퓨터 기술은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들 간의 경쟁 구도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민간 주도로 연구를 진행하는 반면, 중국은 정부 차원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의 양자컴퓨터


6. 양자컴퓨터가 가져올 미래

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가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들을 풀어내며, 다양한 산업에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예를 들어, 약물 개발 분야에서는 신약 후보 물질을 빠르게 분석할 수 있고,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더 정교한 학습 모델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군사 및 보안 분야에서는 현재의 암호화 기술(대표적으로 블록체인)을 대체할 새로운 보안 체계를 마련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자컴퓨터는 단순한 기술적 혁신을 넘어, 인간의 사고와 문제 해결 방식을 재정의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글의 윌로 칩을 활용한 최신 연구는 이러한 가능성을 한층 더 현실로 가까이 다가오게 했습니다. 하지만 이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여전히 많은 도전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미래의 양자컴퓨터는 우리가 현재 상상할 수 없는 방식으로 세상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인공지능, 약물 개발,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양자컴퓨터가 열어갈 새로운 가능성을 기대해 봅니다.

 

 

Open AI SORA 출시: AI 비디오 생성의 새로운 지평

드디어 오픈AI가 충격적인 발표를 했습니다. 많은 기대를 모았던 AI 비디오 생성 플랫폼, SORA가 공식적으로 런칭된 것입니다. 기존에도 다양한 AI 비디오 생성 툴들이 있었지만, SORA는 그 중에서도

wonderajae.tistory.com

 

반응형